JavaScript: 웹 페이지에서 동적인 기능을 추가하고 상호 작용을 가능하게 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입니다.
>> 말 그대로 동적인 기능을 추가하고, 반응하는, 움직이는 화면을 만들기 위해서 사용하는 프로그램 언어입니다.
3. 웹 서비스의 구조
웹 서비스의 구조는 서비스의 특성, 목적, 기술 스택에 따라 다양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클라이언트-서버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합니다. 다양한 컴포넌트와 계층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사용자가 요청하면 서버가 응답하는 방식)
클라이언트 (Client) //브라우저를 켠 쪽을 부릅니다. 웹 브라우저 또는 애플리케이션: 사용자는 웹 브라우저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웹 서비스에 접속하고 상호 작용합니다.
서버 (Server) // 응답을 해주는 쪽을 부릅니다.
웹 서버: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받아 정적인 콘텐츠(HTML, 이미지, CSS 등)를 제공합니다.
주로 Apache, Nginx 등이 사용됩니다.
애플리케이션 서버: 동적인 콘텐츠 생성 및 비즈니스 로직을 처리합니다.
주로 Node.js, Django, Flask, Ruby on Rails 등이 사용됩니다.
데이터베이스 (Database) 데이터베이스 서버: 서버는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해 데이터베이스와 상호 작용합니다.
주로 MySQL, PostgreSQL, MongoDB 등이 사용됩니다.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웹 API: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로, 데이터를 주고받는 데 사용됩니다.
RESTful API, GraphQL 등이 있습니다.
1. HTML의 구조
HTML은 HyperText Markup Language(하이퍼텍스트 마크업 언어)의 약자로, 웹 페이지의 구조를 정의하는 마크업 언어입니다. HTML은 웹 브라우저가 웹 페이지를 해석하고 표시하는 데 사용되며, 텍스트, 이미지, 링크, 표, 목록 등의 다양한 요소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HTML 문서는 태그(tag)라 불리는 특별한 코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각 태그는 각자의 의미를 가지며, 웹 브라우저에게 문서의 구조를 알려줍니다. 각 태그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형식을 가집니다
기본 구조
<tagname>내용</tagname>
live Server 웹 페이지 확인 방법 - 알트 + L + O
<!DOCTYPEhtml> ▶ "이렇게 생기면 html의 버전5을 이야기하는것임"
<html> ▶문서의 시작을 알려줌
<head> ▶문서의 머리(문서의 특징을 알려주는것임)
<title>문서 제목</title> ▶말 그대로 문서 페이지 (아래 사진 참고)
</head>
<body>
<h1>이것은 제목입니다</h1> ▶제목
<p>이것은 단락입니다.</p> ▶단락 /HTML은 엔터를 아무리 눌러도 내려가지 않음
띄어쓰기를 아무리해도 띄어지지 않아요.
그래서 글자를 띄려고 해도 띄어쓰는 태그를 사용해야합니다.
</body>
</html> ▶문서의 끝을 알려줌
2.문단 태그
문단(paragraph) 태그는 텍스트를 문단으로 묶는 데 사용되는 HTML 태그입니다. 주로 글의 내용을 구조화하고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 활용됩니다.
<!DOCTYPEhtml>
<htmllang="en">
<head>
<metacharset="UTF-8"> ▶ 다른나라의 글자로 해서 깨지지 않게 하는것
<metaname="viewport"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 모바일 세팅 / 줌인/아웃 안되는거 방지하는것
<title>문단 태그</title>
</head>
<body>
<p>1. 문단 태그</p> ▶p태그는 중요도가 조금 낮음
<p>문단을 만드는 태그</p>
블록 태그
블록 태그
</body>
</html>
3. 제목 태그
HTML에서 제목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태그는 <h1>에서 <h6>까지입니다. 이는 Heading(헤딩) 태그로 불리며, 숫자가 커질수록 제목의 수준이 낮아집니다.
h1,h2,h3,h4,h5는 각각 글자 크기를 뜻하는것입니다. 그래서 순서는 상관이 없습니다.
4. 서식 태그
"서식 태그"는 HTML 문서에서 텍스트의 서식을 지정하는 태그들을 가리킵니다. 여러 서식 태그들이 텍스트의 스타일, 강조, 목록, 링크 등을 정의하는 데 사용됩니다.
5. 서식 태그
"서식 태그"는 HTML 문서에서 텍스트의 서식을 지정하는 태그들을 가리킵니다. 여러 서식 태그들이 텍스트의 스타일, 강조, 목록, 링크 등을 정의하는 데 사용됩니다.
<!DOCTYPE html><htmllang="en"><head><metacharset="UTF-8"><metaname="viewport"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title>서식태그</title></head><body><h2>서식 태그</h2><p>b 태그는 글자를 <b>굵게</b> 표현합니다</p><p>strong 태그는 글자를 <strong>굵게</strong> 표현합니다</p><p>i 태그는 글자를 <i>이탤릭체</i>로 표현합니다</p><p>em 태그는 글자를 <em>이탤릭체</em>로 표현합니다</p><p>ins 태그를 사용하면 <ins>중요한 글자</ins>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p><p>del 태그를 사용하면 <del>글자를 지운 것</del>처럼 표현합니다</p><p>sup 태그를 사용해서 수식을 표현: x<sup>2</sup> + y<sup>3</sup> = z</p><p>sub 태그를 사용해서 화학식을 표현: H<sub>2</sub>O</p></body></html>
여기서 중요한것은 태그안에 태그를 만들 수있다는 점이 중요한것이다.
<p>태그안에 <b>태그를 써서 부분만 굵게 사용이 가능하다는것입니다.
6. 목록 태그
HTML에서 목록을 만들기 위해 사용되는 주요 목록 태그에는 <ul>, <ol>, <li>가 있습니다. 이러한 태그들은 웹 페이지에서 항목을 순서 있는 목록(ordered list)이나 순서 없는 목록(unordered list)으로 구성하는 데 사용됩니다.
봇들은 목록태그를 메뉴로 인식을 하게 됩니다. 따라서 이렇게만들어놓고 나중에 css로 칸을 만들어서 네비로 바꿀수도있고 결국 디자인적인것은 css가 다 하는것이다. html은 정말 말 그대로 뼈대만 만들어놓는것이라고 알고있으면 될것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