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설치해야하는것
1.VMware workstation(컴에 기본설치되어있을거임)
▶ 가상장치프로그램입니다.
▶ 가상 시스템을 맞춰서 리눅스를 설치해서 활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
Downloading VMware Workstation Pro
Downloading VMware Workstation Pro
Downloading VMware Workstation Pro book Article ID: 344595 calendar_today Updated On: Products VMware Workstation Pro Show More Show Less Issue/Introduction This article provide steps to download VMware Workstation Pro. Symptoms include, Unable to download
knowledge.broadcom.com
16을 하려면 이걸로 하면 됨
가상환경 만드는 방법
1) 파일-> 뉴 버츄럴머신



CentOS 64bit로하면됩니다. (8있으면 8로하고 없으면 7로하면 됨)

Cilent1은 가상화면에 보여지는 이름입니다.
Location은 어디에 설치할건지 몰아보는겁니다.

첫번째줄은 하드디스크 최대 크기를 물어보는것
20기가를 만드는데 멀티로하면 디스크가 여러개 설치가되고 데이터 저장이 분산이 됩니다.
그러다보니 빠르겠습니다. 그래서 멀티로하는게 권장사항입니다. 근데 지금은 데이터저장용량이 크지않아도 돼서
싱글파일로 진행하겠습니다.
이후 죽쭉 눌러보면

이후 memory를 더블클릭하면 메모리를 설정할수있는데 저는 2GB로 했습니다.


이후 CENTOS DOWNLOAD를 ISO로 넣어주면 됩니다.
현재 수업에서 쓰는건 9입니다. 그 후 아래처럼 선택하면 설치가됩니다.

이후 설정한 후 네트워크 설정을 해야하는데 EDIT-EDITOR


이후 NAT Setting..를 누른 후 아래처럼 설정을 맞추면됩니다.

이후 시작을 누르면

이렇게 됩니다.
이후에 Install11 CentOS Stream9를 키보드로 위치 움직이고 엔터를 누르면

설치가됩니다.

이후 언어( Korea)로 선택 후 계속진행을 누르면 됨.

설치목적지를 누르고 아무것도안하고 완료 누르면 그대로 완료됨.

설정->메서드->수동->add->192.168.2.201 24 192.168.2.254


위 사진처럼 설정해주면 됩니다.
이후에 호스트이름은 Client1로 적용합니다.
다시 앞쪽 화면으로 가면
사용자설정-> root비밀번호를 누릅니다.

이후 사용자생성을 합니다.

그 이후 성명 사용자이름 비밀번호 비밀번호 확인까지 눌러줍니다.
이후 설치시작을 한 후 시스템재시작을 눌러줍니다.
아까 아이디는 root / centos로 했기때문에 그렇게 로그인이 됩니다.
그 다음 아래쪽(현재활동)에 터미널을 누르면 터미널창이나오게됩니다.

그 다음 ip address를 누르면 ip가보이고
ip route | 정보확인 |
route -n | 정보확인 |
cat /etc/resolv.conf | 메인서버 ip확인 (168.126.63.1) |
ping -c 5 168.126.63.1 | 핑보내기 핑 : 목적지로 메시지 보내기 |
nslookup http://www.google.com | ![]() |
2.Linux
리눅스는 따로 ctrl+c | ctrl+v가 되지않는다 그럼 어떻게 쓰냐면 shift+Insert을 쓰면 붙여넣기가 됩니다.
터미널에서 아래 코드를 붙여넣기합니다
wget -q https://raw.githubusercontent.com/ncs10322/linux/main/setup.sh
위는 강사님 깃허브 스크립트입니다.
기본설정같은경우는 미리 스크립트로 만들어놔서 그냥 가져와서 사용하면 쓸 수 있습니다.

이후 이렇게 설치를 하고 sestauts를 누르면 permissive가 하단에 나오는지 확인을 해야한다.

systemctl status firewall를 해보면 아래처럼 나오는것도 확인해본다.


이정도까지하고 하면 얼추 설정은 모두 확인해본거고 init 0
을 하게 되면 초기화가 되면서 재부팅이된다.
리눅스 환경 하나 더 생성하려면
클론을 하면된다. 클론은 link는 원본손상시 같이 손상될 수 있고 full로하면 완전한 복제라서 full로 했습니다.

이렇게 복제가 된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후에
#터미널 이름 변경
hostnamectl set-hostname Client2
hostnamectl set-hostname Server1
hostnamectl set-hostname Server2
#네트워크 확인
nm-connection-editor &
#디버스 연결
nmcli connection up ens33 && systemctl restart NetworkManager
모두 잘 연결된것까지 확인했습니다.
'서버운영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02_MobaXterm, 기본 명령어 (0) | 2025.03.27 |
---|---|
[Linux] 리눅스 기본 사용 (0) | 2024.08.10 |
[Linux] 리눅스 기본 사용_추출,정렬,파일내용,링크파일,압축/해제 (0) | 2024.07.03 |
[Linux] 파일,디렉터리 확인,찾기 (0) | 2024.06.26 |
[Linux] 파일, 디렉토리 명령어 (0) | 2024.06.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