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서버운영/네트워크

02_네트워크 주소 체계

by 바다의 공간 2025. 3. 28.

1. 포트번호

- TCP, UDP 헤더 앆에 포함된 주소
- 주소 크기: 16bit(2^16 = 0~65535)
- 클라이언트 입장: 서비스 요청 및 실행
- 서버 입장: 서비스 구분 및 제공

참고사이트

 

Service Name and Transport Protocol Port Number Registry

3 udp Reserved 2025-02-13 De-assigned on 2025-02-13, previously compressnet by [Bernie_Volz]

www.iana.org

 

User Ports (1024-49151)  PC 에서 사용하는 포트
Dynamic/PrivatePorts (49152-65535)  PC 에서 사용하는 포트, 동적/사설 포트
System Ports (0-1023)  서비스 예약용
ex) http 80
mysql 3306 등
각각의 포트번호가 몇번인지 확인하는게 중요함! (아래표)

위 참고 사이트를 이용해서 검색 한 TCP UDP 포트번호입니다.

 

포트번호 많이 쓰이니 자연스럽게 암기해두기

 

위 표에서 꼭 알아야할 포트는 하단의 빨간색 표와 같습니다

 

이정도는 기본으로 알고있어야하는 포트번호입니다.

어떤 서비스인지까지도 알아둬야합니다.


예시

 

클라이언트[50001 포트] -----------------------------------------> 서버

SA : 출발지 포트 : 50001                                                SA  53       

DA: 목적지 포트  : 53                                                     DA 50001  

요청 ------------------------------------>  <-----------------------------응답

이렇게 되면 즉 53번인 dns로 됩니다.

 

 

클라이언트[50001 포트] -----------------------------------------> 서버

SA : 출발지 포트 : 50003                                                SA  80   

DA: 목적지 포트  : 80                                                     DA 50003  

요청 ------------------------------------>  <-----------------------------응답

이렇게 되면 즉 80번인 HTTP로 됩니다.


                                                       

 


여기서 cmd를켜서 netstat -n 명령어를 치게되면 

 

가 나오게되는데 여기서 로컬주소는 내꺼 외부주소는 남의꺼예요. 상태를보면 ESTABLISHED(네트워크 연결됨) 이라고 알아두고 나머지는 연결되지않았다고 생각하면됩니다. 

 

TCP를 통해서 연결이 됐다는말입니다.외부주소 맨 마지막보면 443 ,995 이런거보면서 어디로 연결됐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즉 포트번호를 알고있으면 어디로 시스템이랑 뭐가연결이 되어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 로컬주소를 보면 서버인지 클라이언트인지를 봐야되는데

정보를 주면 서버 요청하면 클라이언트입니다. 그래서  약간의 팁?은 뒤에있는 숫자를 보면 될거같습니다.

 

이렇게 될 수 있습니다. 반대로 로컬주소에 49469가아닌 80이 들어가면 그 친구가 서버가 되는거겠죠.

 

즉 서버도 되고 클라이언트도 될 수 있습니다


2. IP 주소


- IP 헤더 안에 포함된 주소
- 주소 크기: 32bit(2^32 개 = 4,294,967,296)
- 로컬 환경에서 리모트 환경으로 데이터 전송 담당
- 변경이 가능한 논리적인 주소(만들어서/설정해서 사용하는 주소)
- 참고 사이트: https://xn--c79as89aj0e29b77z.xn--3e0b707e/main.do
- 참고 사이트: https://mylocation.co.kr
- 참고 사이트: http://www.ipconfig.kr

 

IP 정보 조회 - ipconfig.kr

 

www.ipconfig.kr

- 참고 사이트 : 후이즈()

 

 

 

IP를 눌러서 검색하면 주소가 나옵니다. 

 

실제사용자같은경우는 법률등에 규정된 절차에 따라서 수사관 등이 ISP에 요청한 경우에 확인이 가능합니다


 

3. MAC 주소
- ETH 헤더 앆에 포함된 주소
- 주소 크기: 48bit(2^48 개)
- ETH 로컬 환경 내에서 데이터 전송 담당
- 00-e0-4c-14-62-ba
 |----------|
 OUI 24bit: 랜카드 업체(이더넷 장치 업체)가 IEEE 기관으로부터 임대받은 주소
- 변경 불가능한 물리적인 주소
- 참고 사이트: https://aruljohn.com/mac.pl

 

MAC Address Lookup - MAC OUI IAB IEEE Vendor Search

Enter the MAC address or OUI and find which company made the device. Which company manufactured the network card? MA-L, MA-M, MA-S. MAC Vendor details.

aruljohn.com

 

cmd에 inconfig /all를 쓰면 여기서 mac address를 찾을 수 있겠죠? 

물리적주소 : mac주소

 

mac주소를 검색하면 어디 회사 제품인지 파악할 수 있다.

mac address는 pc가 바뀌지 않는이상 바뀌지 않으니 ip보다는 mac에서 주소를 더 정확히 구분할 수 있다.

ip는 변경가능하기때문이죠.


ip를 다루다보니 이렇게 제곱을 모두 알아두는것이 좋습니다.